[구자범의 제길공명] 벗들이여, 그대의 우울에서 꿈을 봅니다 멜랑콜리 미학의 진수인 영화 의 한 장면. 철학박사 김동규씨는 이 영화 주인공들의 삶을 토대로 멜랑콜리의 정조 속에서 어떻게 예술과 철학이 탄생하는지를 자신의 저서 에 담았다.[토요판] 구자범의 제길공명 (6) 멜랑콜리가 필요한 사회▶ 구자범 한국의 대학에서 술과 철학을, 독일의 대학에서 커피와 음악을 배웠다. 15년간 독일의 여러 오페라극장에서 지휘를 하다가, 사람 냄새가 그리워 한국에 돌아와 교향악단을 맡았으나 환멸을 느끼고 스스로 음악계를 떠났다. 지금은 바닷가에 홀로 살면서 뜻있는 좋은 사람들과 술 마실 궁리를 한다. 토요판에 격주로 연재하는 ‘제길공명’(諸吉共鳴)은 ‘모두가 좋은, 함께하는 떨림’을 뜻하는 필자의 신조어다.얼마 전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이란 작품이 상영되었다. 불과 200여석짜리 상.. 더보기 이전 1 2 3 4 ··· 28 다음 목록 더보기